우리 브랜드에 맞는 SNS 인스타그램 마케팅 제대로 하고 있나요?
“인스타그램 무조건 아닌가요?”
“틱톡이 대세래요”

많은 브랜드가 이런 이야기만 듣고 마케팅 채널을 결정합니다.
하지만 우리 브랜드 고객은 어디서 진짜 유입되고 있을까요?
답은 데이터에 있습니다.
- 네이버에서 검색 후 유입되는지
- 인스타그램 광고나 릴스를 보고 클릭하는지
- 유튜브 리뷰를 보고 구매하는지
이걸 모르면 마케팅 예산은 계속 새어 나갑니다.
그렇다면 왜 유입 채널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나요?
고객의 구매 행동은 단순하지 않습니다.
- 검색 → SNS 탐색 → 홈페이지 방문 → 구매
- 또는 SNS 유입 → 관심만 갖고 이탈
- 또는 검색만 하고 끝 으로 이탈해 구매로 이어지지 않기도 합니다.
이런 복잡한 여정 속에서 어떤 접점이 실제 전환에 영향을 줬는지 파악하는 것을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MTA)이라고 합니다.
“Multi-touch attribution is the act of determining the value of each customer touchpoint that leads to a conversion.”
모든 접점을 분석해 어떤 채널이 전환에 기여했는지 파악해야 제대로 된 예산 배분과 마케팅 전략이 가능합니다.


자료 출처: Northbeam. (2025). What is Multi-Touch Attribution?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MTA)이란? – 전환율 높은 채널을 찾는 법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Multi-touch Attribution)은 고객이 구매하기까지 어떤 경로를 거쳤는지 단계별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이해하는 예시]

💡즉, 단순히 '어디서 클릭했는지'가 아니라 고객 여정 전체를 보고 '어떤 채널이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따져보는 것입니다.
인스타그램·검색 기반 유입 분석 사례
그렇다면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 분석을 통해 유입 경로를 최적화한 브랜드들은 실제로 어떤 전략을 사용했을까요?
아래는 스튜디오펍시를 포함한 국내외 사례를 통해 검색·SNS·CRM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해 성과를 만든 사례입니다.
1. 스튜디오펍시 – 반려동물 봄 산책템 캠페인
봄철 ‘강아지 산책 용품’ 키워드 검색량이 증가하는 시점을 파악해 유입 타이밍과 콘텐츠 노출 시점을 맞춘 전략 캠페인을 실행했습니다.


✔️실행 포인트
• 블로그 & 인스타그램 협찬 콘텐츠를 3~4월 집중 집행
• 키워드 검색량과 콘텐츠 반응량을 모니터링하여 SNS 노출 타이밍 조율
📈성과 요약
단순 인스타그램 중심의 SNS 바이럴만 진행했을 때보다 검색 타이밍과 연계한 콘텐츠 분산 집행을 통해 브랜드 검색량이 전월 대비 35% 상승했습니다.
검색량 기반 타이밍 설계와 SNS 채널 분산 노출을 통해 SNS 단독 운영과 비교했을 때 브랜드 인지도는 물론 방문자 수와 반응률까지 함께 상승한 사례 입니다.
2. 마이리얼트립 – CRM 기반 개인화 메시지 전략 사례
여행 플랫폼 마이리얼트립이 실행한 것으로 데이터 기반 리타겟팅 전략으로 광고 유입 → CRM 메시지 → 전환이라는 채널 흐름을 어떻게 설계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입니다.

자료 출처: 에어브릿지
✔️실행 포인트
• 맞춤형 메시지로 리타겟팅
📈성과 요약
기존 캠페인 대비 CTR이 5%p 이상 상승하는 성과와 함께, DA 리타겟팅 소재 4개 모두 CTR이 최소 2%p에서 최대 21%p까지 증가 하였습니다.
유입 이후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메시지를 운영함으로써 추가적인 클릭, 재방문, 구매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고 합니다.
3. Lifesight – 리테일 브랜드의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 적용 사례 (해외)
해외 리테일 브랜드는 Facebook Ads, Google Ads, 인플루언서 리뷰 등 여러 채널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실제 구매 여정의 전환 기여도를 측정했는데요.

자료 출처: Lifesight Multi-touch Attribution Models
✔️실행 포인트
• 단일 채널 의존도가 높은 구조에서 MTA 기반 예산 전환 구조로 이동
• 각 채널 기여도에 따라 광고 집행 방식 재설계
📈성과 요약
이를 통해 예산 재배분과 캠페인 최적화를 진행했고 그 결과 매출 35% 증가, CAC 20% 감소 (고객 획득 비용 절감), 분기별 40%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초보 브랜드를 위한 SNS 유입 분석 실전법
"우리 브랜드도 할 수 있을까?"
마케팅 예산이 한정된 소상공인, 1인 브랜드라도 이 단계를 따라만 해도 유입 채널 분석이 가능해요.
✔️ Step 1. 유입 경로부터 기록하세요
홈페이지, 자사몰, 네이버 폼 등 유입이 가능한 모든 채널에 ‘어디서 왔는지’ 확인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채널 | 추적 방법 |
---|---|
인스타그램 | UTM 파라미터 또는 방문 페이지에 구분값 넣기 |
네이버 검색 | 애널리틱스에서 유입 소스 확인 |
상담톡 | 상담 메모에 고객 언급 직접 기록 (“검색 보고 왔어요” 등) |
Dub.link 에서는 일정 범위 내 무료로 링크 단축 & 추적 툴을 사용할 수 있어요.
naver / organic 또는 naver / cpc로 표시되는 유입 경로를 통해
얼마나 오래 머물고, 구매까지 이어졌는지를 비교 가능해요!
✔️ Step 2. 유입 태그를 엑셀/노션에 기록하세요
노션이나 엑셀 등 쉽게 접근 가능한 툴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유입 채널을 놓치지 않고 기록하는 것이에요.
[예시] SNS·검색 유입 채널별 고객 행동 정리표
고객명 | 유입 채널 | 최초 클릭일 | 메모 |
---|---|---|---|
김예림 | 인스타그램 릴스 | 2024.03.15 | 리뷰 영상 보고 관심 생김 |
박민호 | 네이버 검색 | 2024.03.18 | 자사몰 검색 후 방문 |
✔️ Step 3. 유입 경로별 전환 기여도 점수 분석법
모든 유입이 똑같이 중요한 건 아닙니다. 단순 클릭만 한 고객과, 장바구니에 담고 상담까지 한 고객은 기여도가 다르겠죠?
그래서 각 행동에 기여 점수(가중치)를 매겨보면
어떤 채널이 진짜 전환에 가까운 행동을 유도했는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최근 한 달간 유입된 고객 10명을 떠올려보세요.
2.각 고객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정리한 후 점수를 합산합니다.
[활용 예시] 마케팅 채널 기여도 비교표
고객명 | 유입 채널 | 행동 | 총 점수 |
---|---|---|---|
A 고객 | 인스타그램 릴스 | 클릭만 함 | 1점 |
B 고객 | 네이버 검색 | 검색 → 상세페이지 → 장바구니 | 8점 |
C 고객 | 지인 추천 (카톡) | 문의만 함 | 5점 |
*점수 기준: SNS 클릭 +1점 / 검색 방문 +3점 / 장바구니 담기 또는 문의하기 +5점
단순 클릭 vs 구매 직전 행동을 구분해 점수로 비교하면 “어디에 집중해야 할까?”가 명확해집니다.
그래서 왜 SNS·인스타그램 마케팅만으로는 매출이 안 오를까요?
많은 브랜드가 인스타그램 콘텐츠 제작과 광고 집행에는 집중하지만 그 이후 고객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추적하지 않기 때문에 성과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클릭은 많은데, 왜 구매는 안 일어날까?
- 광고비는 쓰고 있는데, 왜 매출은 그대로일까?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어디서 왔는지’, ‘어디서 이탈했는지’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즉, 유입 이후 데이터를 분석하지 않으면 전환 전략도 짤 수 없습니다.
스튜디오펍시는 이렇게 실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많이 노출되느냐"보다 "어디서 유입되고, 어떤 행동으로 이어졌는가"에 집중해 마케팅 전략을 설계합니다.
- 검색량 흐름을 분석해, 고객이 실제로 관심을 갖는 시점에 콘텐츠를 노출합니다.
👉🏻 단순 SNS 콘텐츠 제작보다 효과적인 유입이 가능해집니다.
- SNS 반응 데이터를 통해, 전환 가능성이 높은 타겟을 선별합니다.
👉🏻 더 많은 클릭이 아니라, ‘전환 가능한 유입’에 집중합니다.
- 리뷰와 VOC 데이터를 분석해, 어떤 콘텐츠가 재방문과 구매로 이어졌는지 파악합니다.
👉🏻 데이터 기반으로 콘텐츠 구조와 채널 전략을 설계합니다.
지금 우리 브랜드에 맞는 유입 전략이 궁금하다면, 데이터 기반으로 함께 진단해드립니다!
매출로 이어지는 마케팅 설계. 지금 스튜디오펍시와 함께 해보세요!